20-12-22 21:38
다양한 형태의 매뉴얼과 기능의 변천을 통해서 AI시대의 POST 매뉴얼을 위해 어떤 준비가 필요한지 소개합니다.
매뉴얼의 형태, 사용환경, 사용성, 재활용 등 다양한 관점에서의 장단점을 확인한 후 다가온 인공지능(AI) 환경에서의 최적의 매뉴얼 형태의 고민도 함께 해야 됩니다.
많은 사용자들은 모바일 환경에서 비대면 개인화 서비스를 경험하고 있습니다.
매뉴얼이 단순 정보만 전달하는 것을 뛰어 넘어 사용자의 성향, 용도 및 상황에 맞는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도구로 충분히 진화할 수 있다고 봅니다.
그렇다면 AI시대에 기존 매뉴얼은 어떤 진화를 기대할 수 있는지 함께 고민했으면 좋겠습니다.
인쇄 매뉴얼
|
개발과 퍼블리싱에 들어가는 비용과 공수의 부담이 큽니다. 인쇄한 후 수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. 그러나 환경에 따른 사용 제약이 적습니다.
PDF 매뉴얼
|
PDF의 많은 기능을 적용하여 사용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 (검색, 상호참조, 링크, 동영상, 3D렌더링 등) 퍼블리싱 비용이 매우 적습니다. 다만 사용 환경(PC, 스마트 폰)의 제약이 있습니다.
플래시 매뉴얼
|
인터렉티브한 매뉴얼로 사용법을 전달하는데 매우 효과적입니다. 단점으로는 제작 비용이 많이 들고 콘텐츠 재활용이 힘듭니다. 그리고 사용 환경(pc, 플래쉬 플레이어)의 제약도 있습니다.
동영상 매뉴얼
|
사용법보다는 튜토리얼 또는 팁에 유용합니다. 제품 보다는 시스템, SW 등에 적합한 매뉴얼 형태입니다. 최근에는 유투브와 같은 플랫폼을 통해서 접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
사용자관점에서 직관적이고 친숙하여 사용성이 높습니다. 다만 사전 기획 시 고려할 것이 많습니다. (사운드, 자막, 효과 등) 그리고 다국어 UI에 따라 개별 비용이 많이 발생합니다.
WEB (HTML, XML...) 매뉴얼
|
구조화 소스로 DITA, XML 등을 사용하는데 레이아웃과 구성의 자유도가 높지 않습니다. 그러나 콘텐츠 관리 관점에서 효과적이고 멀티 퍼블리싱에 적합합니다.
이상, AI시대에서의 매뉴얼 진화의 기대 1편 이였습니다.
감사합니다.